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중급) - 나 혼자 산다

5강. 관리종목,상장폐지 조건(3) - 법인세비용 차감전 계속사업손실

by 주선비 2022. 7. 26.
반응형

 

https://pf.kakao.com/_yrtRxj

 

주선비 투자학당-주식 경제 투자 뉴스

바쁜 직장인으로서 안전하게 투자할 수 있도록 같이 공부합시다!

pf.kakao.com

▲▲ 위 링크는 주선비 카카오뷰 채널입니다. 채널을 추가 하시면 소식을 빠르게 확인 할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주선비입니다.
이전 4강에서는 자본과 자본금에 대한
기본개념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4강. 기본개념 - 자본, 순자산, 자기자본, 자본금의 이해

 

4강. 기본개념 - 자본, 순자산, 자기자본, 자본금의 이해

안녕하세요! 주선비입니다. 이전 3강에서는 장기 영업손실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3강. 관리종목,상장폐지 조건(2) - 4년 연속 영업손실 3강. 관리종목,상장폐지 조건(2) - 4년 연속 영업손실

www.JOOSEONBI.com


이번 시간에는 조건(종목) 검색식의
세 번째 조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세 번째 조건은 우리가 2강에서 배웠던
관리종목/상장폐지 조건 중
법인세비용 차감 전 계속 사업손실
자본잠식을 피하는데 필요한 조건입니다.

물론, 종목(조건) 검색식에
법인세비용 차감 전 계속 사업손실과
자본잠식에 대한 조건이 있었으면 좋았을 텐데...
아쉽게도 딱 맞는 조건은 없더라고요.

클릭 후 확대해서 보세요


위 그림을 보시면 제가 당기순이익을
사용한 이유에 대해서 조금은 알 수 있을 겁니다.
법인세비용 차감 전 계속 사업손실은
당기순이익으로 가는 마지막 단계에서
법인세비용을 차감하기 전 단계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중단사업손익이 없다면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익에
법인세비용만 차감하면 당기순이익이 되고
중단사업손익이 있다면
법인세비용을 차감한 상태에서
중단사업손익을 +,- 해주면 당기순이익이 됩니다.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라도 먹어야 하듯
딱! 맞는 조건이 없으면
비슷한 조건을 써서라도 필터링해야겠죠?)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법인세비용 차감 전 계속 사업손실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클릭 후 확대해서 보세요


위 그림은 자주 나오죠?
꼭 기억하시라고 자주 넣는 겁니다 ㅎㅎ

위 그림의 세 번째 보시면
법인세비용 차감 전 계속 사업손실은
자기자본의 50%를 초과하고 + 그 손실금액이
10억 원 이상이 최근 3년간 2회 이상이면
관리종목에 들어갑니다.

예를 들어 자기자본이 200억 원이고
법인세비용 차감 전 계속 사업손실이 100억 원을 초과하면
1번 경고받습니다.
이후, 자기자본이 100억 원으로 줄어든 상태에서
이제는 50억 원만 손실이 나도 관리종목에 들어가는 겁니다.

 

 

 


위의 예시처럼 손실이 계속되면
잉여금이 감소하여 자기자본도 감소하므로
자기자본의 50%가 넘는 손실이 발행하는 건
시간이 갈수록 가능성이 커지게 되는 겁니다.

하지만, 기업들이 관리종목이나 상장폐지가
될 때까지 가만히 보고만 있을까요?

밑에 예시를 한 번 보겠습니다.

클릭 후 확대해서 보세요


위 그림은 거래정지가 된 CNT85라는 기업이
2015년 3월에 공시한 내용입니다.
3강에서도 말씀드렸듯이 하단 부분에는
감사 결과에 따라 일부 수정이 있을 수 있다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공시를 보면, 직전 사업연도에
법인세비용 차감 전 계속 사업손실이
150억 원 넘게 발생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자본총계와 비교를 해보면
150% 넘게 손실을 봤으며
이에 따라 1번 경고받은 상태입니다.

당해년도를 볼까요?
법인세비용 차감 전 계속 사업손실이
43억원 정도 되며, 자본총계는 89억원이 됩니다.
자본금이 135억원인 걸 봐서
아마 유상증자하지 않았을까 생각이 듭니다.
자본총계와 비교를 해보면 48% 정도 되므로
관리종목 해당 사유에 아슬아슬하게 비켜나갑니다.

근데 뭔가 께름칙하죠? 위에서 언급했듯이
감사 결과에 따라서 일부 수정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저렇게 한번 경고를 받은 기업들은
회계감사를 할 때 감사인이 
기준을 가까스로 넘긴 숫자들에 대해서
감사 절차를 강화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클릭 후 확대해서 보세요


위 그림은 이 기업에 대한
감사보고서 제출 지연 공시이며,
이유는 외부감사인이 보완자료를
요청하였으나, 이 기업이 제출하지 않아서
재무제표가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후, 감사보고서가 제출되었는데
그럼 이 기업의 운명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클릭 후 확대해서 보세요


위 그림의 자본 총계를 볼까요?
83억원으로 정정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아까 법인세비용 차감 전 계속 사업손실이
43억원이었으니까, 자본총계 대비 51%가 넘네요?
이 기업은 관리종목에 들어갔을까요?

클릭 후 확대해서 보세요

아이러니하게도 관리종목에 편입되지 않았습니다.
이유는 법인세비용 차감 전 계속 사업손실이
36억원으로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그럼 줄어든 손실은 어디로 갔을까요?

클릭 후 확대해서 보세요


위 그림 기억나시죠?
계속사업 손익 밑에 뭐가 있죠?
네! 바로 중단사업손익입니다.

중단사업손익을 계산하는 방법은
당기순이익에서 계속사업이익을 빼면
나오는데요.

처음 기업에서 공시했을 때
중단 사업손실
당기순이익 62억원에서
법인세비용 차감 전 계속사업이익
43억원을 빼면 19억원이 나옵니다.

하지만, 감사보고서가 제출되고
중단 사업손실은 얼마일까요?

클릭 후 확대해서 보세요


위 그림처럼 중단사업손실은 32억원이 됩니다.
이번 관리종목/상장폐지 조건이
뭐라고 말씀드렸죠?
법인세비용 차감 전 계속 사업손실!
계속사업손실입니다. 중단 사업손실은
아무리 커도 상관이 없겠죠?
(물론, 자본잠식과는 상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기업은 경영진의 노련한? 경영으로
계속 사업손실의 일부를 중단 사업손실로 넘겨
관리종목에 편입되지는 않았지만,
2015년부터 계속해서 거래정지 사유가 발생하였고
2019년, 2020년, 2022년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한 기업입니다.

 


현재 주주인 분들께는 죄송스럽지만,
우리는 똥인지 된장인지 찍어 먹어보기 이전에
그냥 된장이라고 쓰여 있는 기업에만
투자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6강. 관리종목,상장폐지 조건(4) - 자본잠식, 자산재평가, 유상증자, 무상감자

 

6강. 관리종목,상장폐지 조건(4) - 자본잠식, 자산재평가, 유상증자, 무상감자

https://pf.kakao.com/_yrtRxj 주선비 투자학당-주식 경제 투자 뉴스 바쁜 직장인으로서 안전하게 투자할 수 있도록 같이 공부합시다! pf.kakao.com ▲▲ 위 링크는 주선비 카카오뷰 채널입니다. 채널을 추

www.JOOSEONBI.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