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중급) - 나 혼자 산다

7강. 기업 안정성 평가 - 유동비율, 당좌비율, 부채비율, 유보율, 이자보상배율

by 주선비 2022. 8. 7.
반응형

나혼자 산다

 

https://pf.kakao.com/_yrtRxj

 

주선비 투자학당-주식 경제 투자 뉴스

바쁜 직장인으로서 안전하게 투자할 수 있도록 같이 공부합시다!

pf.kakao.com

▲▲ 위 링크는 주선비 카카오뷰 채널입니다. 채널을 추가 하시면 소식을 빠르게 확인 할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주선비입니다.
이전 6강에서는 자본잠식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6강. 관리종목,상장폐지 조건(4) - 자본잠식, 자산재평가, 유상증자, 무상감자

 

6강. 관리종목,상장폐지 조건(4) - 자본잠식, 자산재평가, 유상증자, 무상감자

https://pf.kakao.com/_yrtRxj 주선비 투자학당-주식 경제 투자 뉴스 바쁜 직장인으로서 안전하게 투자할 수 있도록 같이 공부합시다! pf.kakao.com ▲▲ 위 링크는 주선비 카카오뷰 채널입니다. 채널을 추

www.JOOSEONBI.com


이번 시간에는 네 번째 조건인
이자보상배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기업을 평가할 때 분석하는 비율은 크게
안정성, 성장성, 수익성, 활동성 이렇게
4가지가 있습니다.

이 중 우리는 안정성 비율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며, 안정성 비율 중에서
왜 이자보상배율을 선택하게 되었는지도
배워보겠습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관리종목/상장폐지를
피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하지만 관리종목과 상장폐지만 피한다고 해서
투자하기에 안전한 기업이라고
판단해서는 안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안정성 비율도 따져봐야 합니다

안정성 비율에는 
유동비율, 당좌비율, 부채비율, 유보율, 이자보상배율
등이 있습니다.

첫 번째로, 유동비율은 

유동성 자산을 유동성 부채로 나눈 백분율로
기업의 단기 자금 사정을 나타내주는 지표입니다.
하지만, 유동성 자산 중에는 재고자산이 포함되어 있고,
재고 자산은 물건이 실제로 팔려야만 의미가 있으므로
기업의 단기 자금 사정을 정확하게 반영해주는 지표라고
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재고 자산은 그 가치가 하락하며,
그 대표적인 예가 백화점의 이월상품 세일이라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것을 보완한 것이 당좌비율입니다.
당좌자산은 재고자산을 제외한
현금 및 현금성 자산과 매출채권 등을 나타내는데
이것을 유동성 부채로 나눈 백분율로 기업의 단기 유동성을
더 잘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하지만, 유동비율도 그렇고 당좌비율도 그렇고
분모에 유동성 부채가 있다는 것
유동성 부채가 줄어들면 비율 자체가 좋아진다는 뜻입니다.
제가 유동비율과 당좌비율을 선택하지 않은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유동성 부채에는 여러 가지가 항목이 있으며,
여기에는 매입채무나 미지급금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매입채무는 기업의 생산활동에 필요한 원재료 등을
살 때 지불하지 않은 금액이고, 미지급금은 생산활동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부분에 지불하지 않은 금액입니다)

어떤 기업이 망할 것 같으면 매입채무나 미지급금을
무조건 받으려고 할 것이며,
이것은 유동성 부채를 줄어들게 하여 일시적으로
유동비율과 당좌비율을 좋아 보이게 하는 효과를 냅니다. 

 


두 번째로, 부채비율은 

부채 총계를 자본 총계로 나눈 백분율로
자기자본 대비 남의 돈 비중이 과도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이 과도한지 판단하는 

기준은 부채비율 200%로보고 있으며,

우리나라 상장기업의 경우

평균 부채비율이 70%입니다.
(IMF 이전에는 기업의 부채비율 평균이 400%였습니다)

하지만, 부채 비율의 단점은
무이자부 부채까지 포함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흔히 이자가 없는 부채를 착한 부채라고 하며
이런 착한 부채가 많은 기업이라고 하더라도 
부채비율은 높아질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A 기업은 부채비율이 100%이고
B 기업은 부채비율이 200%라고 가정해봅시다.
A 기업의 부채 이자율은 10%인데 반해
B 기업의 부채는 무이자 부채입니다.
그렇다면, A 기업과 B 기업 중 안정성은
어디가 좋은 것일까요?
판단하기 힘드신가요? 그러면 예를 하나 더 들어보겠습니다.
우리가 은행에서 대출받는다고 가정해봅시다.
은행에서 대출 이자율을 산정할 때 신용등급을 기준으로
평가하는 건 다들 아실 겁니다.
신용등급이 좋은 사람은 그만큼 이자율이 낮고
신용등급이 나쁜 사람은 이자율이 높을 것입니다.


이처럼 기업도 무이자 부채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기업의 신용도가 좋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채 비율 또한 기업의 안정성을
평가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부분이 있습니다.

 


세 번째로, 유보율

자기자본을 자본금으로 나눈 백분율로
흔히, 기업의 비상금이라고도 하며

기업이 위기에 처했을 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되기 때문에

재무 안정성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보통 유보율은 200%가 넘으면 양호하다고 하며,
우리나라 상장사 중 대기업들은

1000%가 넘는 기업들도 많습니다.

하지만, 유보율의 단점은

자기자본이라는 것입니다.
자기자본이라는 것은 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것으로
현금 및 현금성 자산 등 유동성 자산도 있지만,
토지나 건물, 기계장치 등 비유동성 자산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이 위기에 처했을 때

바로 대처할 수 있는능력이라고 보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있습니다.
또한, 우리가 관리종목/상장폐지에 대해서 알아볼 때
자본잠식을 피하기 위해서

무상감자를 한다고 공부했습니다.
이러한 무상감자는 자본금을 축소시키며,
이는 유보율을 계산할 때 분모의 자본금을 줄여
일시적으로 유보율을 높게 보일 수 있게 합니다.

 


이제 제가 이자보상배율

선택한 이유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이자 비용으로 나눈 배수로
기업의 채무상환 능력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상습적으로 이자보상배율 1 미만의 기업은
원금은 고사하고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도 지불하지
못하는 기업으로, 절대적으로 피해야 하는 기업입니다.


우리가 흔히 좀비기업이라고 부르는 기업이 있습니다.
영업이익으로 간신히 이자 비용만 내면서 기업을
유지하는 것인데, 예전처럼 저금리 시대에 이자율이
낮았을 때는 어떻게든 버텼겠지만, 지금처럼
금리가 올라갈 때는 파산할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제가 이자보상배율을 5 이상으로 설정한 이유는
매년 한국은행에서 발표하는 자료에 의해서 설정하였습니다.

한국은행 - 조사/연구 - 연구자료 - 금융안정 조사연구자료 - 이자보상배율 검색

http://www.bok.or.kr/portal/bbs/B0000257/list.do?menuNo=200327 

 

| 금융안정 조사연구자료(목록) | 연구자료 | 조사 · 연구 | 한국은행 홈페이지

한국은행이 제공하는 금융안정 조사연구자료 게시판

www.bok.or.kr

한국은행 - 조사/연구 - 간행물 - 발간주기별 검색 - 연간 - 기업경영분석

http://www.bok.or.kr/portal/bbs/P0000599/list.do?menuNo=200455 

 

| 기업경영분석(목록) | 연간 | 발간주기별 검색 | 간행물 | 조사 · 연구 | 한국은행 홈페이지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의 기업경영분석을 제공하는 게시판

www.bok.or.kr

 

위 링크를 클릭해서 들어가시면 우리나라 전 산업에 걸친 기업의
이자보상배율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최신의 이자보상배율은 2020년 기준 평균 4.6 배이며
그래서 저는 조금 더 보수적으로 5 이상으로 설정을 한 것입니다.
(조건은 산업별로 적용하셔도 됩니다)

 

이렇게 기업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지표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그럼 이렇게만 확인하면 안정적인 기업일까요?
아닙니다. 이전 강의에서 말씀드렸지만,
우리는 최소한의 조건으로

기업을 필터링 한 것이며,
나중에 기업의 사업보고서를
확인할 때 
조금 더 세밀하게 확인하는 방법을 배울 것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8강. 기업 수익성 평가 - ROA, ROE, ROIC, 이익률

 

8강. 기업 수익성 평가 - ROA, ROE, ROIC, 이익률

https://pf.kakao.com/_yrtRxj 주선비 투자학당-주식 경제 투자 뉴스 바쁜 직장인으로서 안전하게 투자할 수 있도록 같이 공부합시다! pf.kakao.com ▲▲ 위 링크는 주선비 카카오뷰 채널입니다. 채널을 추

www.JOOSEONBI.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