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선비 투자학당-주식 경제 투자 뉴스
바쁜 직장인으로서 안전하게 투자할 수 있도록 같이 공부합시다!
pf.kakao.com
▲▲ 위 링크는 주선비 카카오뷰 채널입니다. 채널을 추가 하시면 소식을 빠르게 확인 할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주선비입니다.
이전 5강에서는
법인세비용 차감 전 계속 사업손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5강. 관리종목,상장폐지 조건(3) - 법인세비용 차감전 계속사업손실
5강. 관리종목,상장폐지 조건(3) - 법인세비용 차감전 계속사업손실
https://pf.kakao.com/_yrtRxj 주선비 투자학당-주식 경제 투자 뉴스 바쁜 직장인으로서 안전하게 투자할 수 있도록 같이 공부합시다! pf.kakao.com ▲▲ 위 링크는 주선비 카카오뷰 채널입니다. 채널을 추
www.JOOSEONBI.com
이번 시간에는 조건(종목) 검색식의
세 번째 조건 중 두 번째 자본잠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자본잠식은 기업의 관리종목/상장폐지
조건 중 가장 널리 알려진 조건이며,
여러분들도 뉴스를 통해서 접해본 적이
있으실 겁니다.
위 그림의 4번째 조건을 보시면
완전 자본잠식일 때는 상장폐지이고
자본잠식률이 50% 이상 일 때 관리종목,
관리종목인 상태에서 한 번 더 위 조건이
해당하면 상장폐지가 됩니다.
(코스닥 시장도 위와 비슷하나, 반기 말과
10억원 미만 조건도 포함되어 있으니
참고해주시기를 바랍니다)
그럼 완전 자본 잠식과 부분 자본잠식에
대해서 개념부터 알아볼까요?
위 그림을 보시면 정상적인 기업은
영업활동을 통해서
이익잉여금을 쌓아놓습니다.
하지만, 기업의 적자가 지속되면
쌓아놨던 이익잉여금뿐만 아니라
자본잉여금, 심지어는 자본금까지
갉아 먹는 것이 자본 잠식입니다.
부분 자본잠식은 자본금의 일부를,
완전 자본잠식은 자본금 모두를
갉아먹은 것을 뜻합니다.
5강에서도 말씀드렸듯이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서 벌어들인 돈에서
각종 경비, 이자 비용, 법인세까지
모두 지불하고 순수하게 남은 돈이
당기 순이익이며, 이 당기순이익에서
배당금 등을 제외하고 남은 돈은
이익잉여금이라는 계정에 포함되게 됩니다.
하지만, 반대로 당기 순손실이 나면
어떻게 될까요?
당기 순손실이 나게 되면 결손금이라는
계정으로 처리가 되며
이익잉여금에서부터 차츰 차감하기 시작하여
자본금까지 차감하게 되는 겁니다.
그래서 우리는 당기 순손실이 나는 기업들을
제외하고 필터링하게 된 것입니다.
그렇다면, 기업이 자본잠식을 피하기 위해서
당기순이익을 내는 것 이외에는 다른 방법은
없을까요?
아닙니다. 밑에 3가지 조건은 자본잠식을
피하는 대표적인 방법들입니다.
1. 자산 재평가
2. 유상증자
3. 무상감자
그럼 하나씩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자산 재평가입니다.
위 그림은 쌍용자동차의 사업보고서입니다.
자본 항목을 보시면 자본총계가 -880억 원이 넘어
완전 자본잠식에 들어갑니다.
그러면 쌍용자동차는 상장폐지가 되었을까요?
아닙니다!
2009년에 상장폐지실질심사 제도가 도입되면서
상장폐지 사유를 해소할 수 있다면(정해진 기간 안에)
상장폐지를 면할 수 있게 됩니다.
위 그림처럼 쌍용자동차는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자산을 재평가하면서 자본을 증가시켰습니다.
이에 따라, 위 그림처럼 다음 해의
재무상태표를 보시면
기타자본 구성요소의 금액이 늘어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으며, 완전 자본잠식에서
벗어나 상장폐지가 되지 않았습니다.
두 번째로, 유상증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위 그림을 보면서
아니? 삼성엔지니어링이 자본잠식이라고?
라는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있을 겁니다.
삼성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어떻게 자본잠식이 될 수 있지? 라는 생각을
하실 수도 있는데,
그래서 우리는 기업의 명성, 뉴스, 정보만을
믿고 투자해서는 안되는 겁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삼성엔지니어링은 15년 10월 22일에
유상증자를 결정합니다.
이유가 무엇일까요?
다음 달에 공시된 분기 보고서의
자본총계를 보면 3,700억 원 이상
자본잠식이 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 그림을 보듯이
유상증자를 결정하고, 결과는 다음 해인
16년 2월에 발표가 납니다.
삼성엔지니어링에서는 자본잠식이라는 것을
미리 알고 있었지만,
왜 이렇게 대처가 늦었을까요?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위 그림은 분기/사업보고서 중
기업의 주식의 총수에 대한 내용이
담겨있는 항목입니다.
15년 3분기 보고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발행할 수 있는 총주식 수는 6,000만주
이 중 4,000만주는 발행했고,
나머지 2,000만주에서 유상증자해야 하는데
아까 자본잠식은 3,700억원이었습니다.
이 당시 주가는 2만원대였고,
3분기 1조가 넘는 적자에, 유상증자 소식까지 더해지면
주가는 더 내려갈 텐데, 거기에 유상증자는
10~30% 정도 할인된 금액으로 발행을 하다 보니
2,000만주로는 어림도 없었을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관부터 수정해야 하는데,
정관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주주총회를 통해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시간이 이렇게 많이 걸린 겁니다.
(아까 쌍용자동차 사례에서도 봤듯이
상장폐지실질심사 제도가 있기 때문에
다음 해에 상장폐지 사유가 해소 돼도
상장폐지를 면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삼성엔지니어링도
상장폐지를 면할 수 있었습니다.
세 번째로, 무상감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무상감자를 한다고 하면 무조건 악재다!라고
생각하셔도 좋을 듯합니다)
위 그림은 에프앤리퍼블릭이라는 기업의
21년 1분기 보고서입니다.
자본금은 약 550억 원인데
자본총계가 120억 원 정도 됩니다.
자본잠식률을 계산하는 방법은
(자본금-자본총계)/자본금입니다.
대입해보면
(550-120)/550 = 0.78 약 78% 자본잠식으로
관리종목에 편입되는 조건입니다.
위 그림처럼 이 기업은 자산재평가도,
유상증자도 할 수 없는 상황이다 보니
최후의 수단인 무상감자를 진행하게 됩니다.
(자산이라도 있어야 재평가를 하고
그래도 뭔가 사업성이 있어야 유상증자를 하는데
이 기업은...)
감자비율은 90%로 주식 10주 중 9주가
없지는 것이니, 주주들 입장에서는
가슴이 찢어질 듯 아플 겁니다.
위 그림처럼 감자를 진행한 후
550억이였던 자본금이 55억원으로
줄어들면서 자본잠식률은 21%로
관리종목에 편입되지 않았습니다.
(그럼, 줄어든 자본금은 어디로 갈까요?
이 기업의 경우 기타자본구성 요소의 계정에
포함되었지만, 자본잉여금에 포함될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대표적으로 자본잠식을
피하기 위한 기업들의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관리종목 및 상장폐지를 면하고
지금까지 계속 거래가 되는 기업들이 있지만,
저라면 이런 기업은 아무리 주가가 올라간다고
하더라도 투자를 안 할 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강. 기업 안정성 평가 - 유동비율, 당좌비율, 부채비율, 유보율, 이자보상배율
7강. 기업 안정성 평가 - 유동비율, 당좌비율, 부채비율, 유보율, 이자보상배율
https://pf.kakao.com/_yrtRxj 주선비 투자학당-주식 경제 투자 뉴스 바쁜 직장인으로서 안전하게 투자할 수 있도록 같이 공부합시다! pf.kakao.com ▲▲ 위 링크는 주선비 카카오뷰 채널입니다. 채널을 추
www.JOOSEONBI.com
'주식투자(중급) - 나 혼자 산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8강. 기업 수익성 평가 - ROA, ROE, ROIC, 이익률 (0) | 2022.08.29 |
---|---|
7강. 기업 안정성 평가 - 유동비율, 당좌비율, 부채비율, 유보율, 이자보상배율 (0) | 2022.08.07 |
5강. 관리종목,상장폐지 조건(3) - 법인세비용 차감전 계속사업손실 (0) | 2022.07.26 |
4강. 기본개념 - 자본, 순자산, 자기자본, 자본금의 이해 (0) | 2022.07.24 |
3강. 관리종목,상장폐지 조건(2) - 4년 연속 영업손실 (0) | 2022.07.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