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선비 투자학당-주식 경제 투자 뉴스
바쁜 직장인으로서 안전하게 투자할 수 있도록 같이 공부합시다!
pf.kakao.com
▲▲ 위 링크는 주선비 카카오뷰 채널입니다. 채널을 추가 하시면 소식을 빠르게 확인 할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주선비입니다.
2강에서는 우리가 사용한 종목(조건)검색
첫 번째 조건인 매출액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2강. 관리종목/상장폐지 조건(1) - 매출액
안녕하세요! 주선비입니다. 1강에서 우리는 종목(조건)검색을 이용하여 종목 필터링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1강. 2,500여 종목을 100종목 이하로! - 종목(조건)검색 1강. 2,500여 종목을 100종목
www.JOOSEONBI.com
이번 3강에서는 조건(종목)검색 두 번째 조건인
영업이익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보통 흑자나 적자를 말할 때는
당기순이익을 말합니다.
하지만 관리종목/상장폐지 조건에는
영업손실이 들어가 있어요.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다음에 가치평가 공부를 할 때
자세하게 다루긴 하겠지만,
지금 간단하게 말하자면, 당기순이익에는
금융이익/비용, 기타이익/비용 등
일회성 비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런 일회성 비용은
기업의 주된 사업과는 별개의 이익/손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기업을 평가 할 때
다소 오류를 범할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A 기업과 B 기업이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A 기업은 주된 사업으로는 계속해서 이익을 내지만
기타 일회성 비용으로 4년 연속 당기순손실을 봤고,
B 기업은 주된 사업은 엉망이라서 계속 손실을 보지만
금융투자를 잘해 매년 당기순이익을 보고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두 기업 중 어떤 기업이
관리종목이나 상장폐지가 돼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물론, 두 기업 모두 투자는 절대로 하면 안 되겠죠?ㅎㅎ)
다시 본론으로 들어와서
대부분의 사람은 3년 연속 영업손실인 기업에
투자하지 않을 겁니다.
(설마, 내가 투자하고 있는 기업의 영업이익이
흑자인지 적자인지도 모르신다면.... 반성하세요!!)
하지만, 호재 거리의 뉴스가 나온다든지
내부 정보라며 이번에 흑자전환을 하면서
영업이익을 크게 낼 것이라는 소식을 듣게 된다면
영업이익이 3년 연속 적자라고 하더라도
투자를 하시는 분들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렇게 내 눈으로 직접 확인도 못 한
뉴스나 정보를 듣고 투자한다면,
우리는 또다시 하락장에서 손절을 하거나
전전긍긍하면서 스트레스로
잠을 이루지 못할 겁니다.
위 그림은 A 회사의 2010년~2012년까지
영업손실 내용입니다.
이 회사는 3년 연속 영업적자이고,
이제 1년만 더 영업적자가 나면
관리종목에 편입이 됩니다.
위 그림은 2014년 3월 14일에
기업에서 공시한 2013년 영업이익 자료입니다.
누군가가 이 기업이 흑자전환을 하며,
수익성이 개선되어 주가가 크게 오를 거라고
추천해준 상태에서
저 공시를 봤다면 투자를 하실 건가요?
①번을 보시면 기업의 공시자료에는 진짜로
1억 5천만원이 흑자로 나옵니다.
그래서 저 공시가 뜬 후
A 기업의 주가는 어떻게 움직였을까요?
위 그림은 A 기업이 해당 공시를 띄운 후,
주가의 움직임입니다.
사람들은 '흑자전환 했다. 관리종목 편입 안 된다." 등을
호재 거리라고 생각하고 이 기업의 주식을 샀을 겁니다.
하지만, 뭔가 께름칙하지 않나요?
영업이익도 1억 5천만원이라
불안하기도 하지만,
②번을 보시면 확정된 공시도 아니라는 겁니다.
위 그림은 A 기업의 감사보고서이며,
우려했던 것과 같이 영업손실을 내게 됩니다.
2014년 3월 24일 A 기업의
관리종목 지정 소식의 기사입니다.
이후, 주가의 흐름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
.
.
.
.
.
.
.
.
.
.
.
.
.
.
3일 연속 하한가를 맞습니다.
(이때는 하한가가 15%라서 그나마 다행이네요)
이 기업은 그나마 회계감사를 통해
관리종목에 편입되었지만,
3년 연속 영업적자인 기업이
교묘하게 회계를 분식하여
관리종목을 쏙! 빠져나가는
기업들도 많습니다.
우리가 회계사가 아닌 이상
회사가 작정하고 분식한다면
찾아낼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내부정보에 의한 흑자 전환이든
뉴스에 의한 호재이든
좋은 기업이 많은데 굳이 영업이익이
적자인 기업에 투자해야 할까요?
이런 종목들은 제쳐 두시고
더 좋은 기업에 투자 하시면 좋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
1. 코스닥 상장사 중에서
기술성장사업부에속해있는 기업들은
몇 년이 영업 적자라도 관리종목에
들어가지 않는 특혜가 있습니다.
(기술성장사업부는 대부분 바이오 기업들이에요)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증권·파생상품의 시장정보(Marketdata), 공매도정보, 투자분석정보(SMILE) 등 한국거래소의 정보데이터를 통합하여 제공 서비스
data.krx.co.kr
2. 우리가 조건을 별도 재무제표로 설정한 이유?
관리종목/상장폐지 조건 중에서 지주회사를 제외한 기업은
별도 재무제표로 적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지주회사는 어떨까요?
지주회사는 연결로 적용해야 합니다.
그럼 위 그림의 기업은
4년 연속 영업적자인데
왜 관리종목에 들어가지 않았을까요?
(답은 4강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4강. 기본개념 - 자본, 순자산, 자기자본, 자본금의 이해
4강. 기본개념 - 자본, 순자산, 자기자본, 자본금의 이해
안녕하세요! 주선비입니다. 이전 3강에서는 장기 영업손실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3강. 관리종목,상장폐지 조건(2) - 4년 연속 영업손실 3강. 관리종목,상장폐지 조건(2) - 4년 연속 영업손실
www.JOOSEONBI.com
'주식투자(중급) - 나 혼자 산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5강. 관리종목,상장폐지 조건(3) - 법인세비용 차감전 계속사업손실 (0) | 2022.07.26 |
---|---|
4강. 기본개념 - 자본, 순자산, 자기자본, 자본금의 이해 (0) | 2022.07.24 |
2강. 관리종목/상장폐지 조건(1) - 매출액 (0) | 2022.07.10 |
1강. 2,500여 종목을 100종목 이하로! - 종목(조건)검색(종목필터링) (0) | 2022.07.04 |
[나혼자 산다] 프롤로그 (0) | 2022.06.24 |
댓글